본문 바로가기

실기3

#2022년 전기기능사 실기 공개도면 (3) 핀번호 및 설명 전기기능사 실기 공개도면 (3) 핀번호 및 설명 입니다. ​ 공개도면은 큐넷에 있습니다. ​ www.q-net.or.kr 도면의 FR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. FR은 플리커릴레이의 약자 입니다. 플리커릴레이 구성도를 보고 도면에 핀번호를 메겨 보겠습니다. 왼쪽의 도면에 FR 위 부분, 그러니까 파란색으로 선택해논 부분이 공통접점 입니다. ​ 오른쪽에 구성도에 8번이 공통접점 이기에 그대로 번호를 따라 작성하면 됩니다. 작성해본 최종 도면과 핀번호 입니다. 2024. 2. 6.
#2022년 전기기능사 실기 공개도면 (2) 핀번호 및 설명 전기기능사 실기 공개도면 (2) 핀번호 및 설명 입니다. ​ 공개도면은 큐넷에 있습니다. ​ www.q-net.or.kr 1번부터 10번 과제는 셀렉트 스위치를 사용합니다. FLS를 알아 보겠습니다. FLS는 플로트레스 스위치의 약자입니다. 오른쪽에 있는 구성도를 비교해서 같은 곳에 핀번호를 메기면 됩니다. 구성도를 보면서 핀번호를 메겼습니다. ​ 다음은 EOCR 입니다. 가끔 EOCR의 핀번호를 실수해서 실격하는 학생들을 보았습니다. 구성도를 보면 10번이 공통 접점인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. 그림만 조금 다르지 공통접점인 자리만 확인하면 실수할 일은 없습니다. 이런식으로 잘 핀번호를 메긴 모습입니다. 총 도면에 핀번호를 메긴 모습입니다. 2024. 2. 5.
2022년 전기기능사 실기 공개도면 (1) 핀번호 및 설명 전기기능사 실기 공개도면 (1) 핀번호 및 설명 입니다. ​ 공개도면은 큐넷 자료실에 있습니다. ​ 과제는 총 18개 정도 있고, 실기 시험에는 번호만 다르고 도면이 랜덤으로 한가지가 나옵니다. 핀번호를 돕기 위한 안내 구성도 입니다. 가끔 저 핀번호를 외우라고 하는 선생님이 있다고 하는데.. ​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시간 낭비라고 생각 합니다. 저 구성도는 주어지고 핀번호를 메기고 난 후에 구성도를 보며 다시 한번 검사해서 확인하고 제어반 만드는걸 추천합니다. ​ 핀번호를 잘못 메기면 아무리 빨리 만들어도 실격이니까요. (작동이 되지 않습니다..) 도면과 구성도를 같이 비교해서 핀번호를 메기는걸 추천합니다. 왼쪽 EOCR 구성도를 보면 빨간 부분으로 선택한 부분이 있습니다. 그 번호를 오른쪽 도면에 그대.. 2024. 2. 2.
반응형